2024년 청년도약계좌 지원강화 내용 알아보기

23년 6월 정부에서는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지원을 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쳥년도약계좌를 출시하여 청년들에게 많은 관심과 인기를 받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출시 이후 개선사항이 반영된 2024년 청년도약계좌 지원강화 주요내용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게좌를 간단히 소개하면 만기 5년(60개월)동안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면 개인소득 수준에 따라 매월 최대 6%의 정부기여금을 지급하고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여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정부 지원 정책입니다.

청년도약계좌의 신청방법과 상세한 가입조건에 대해서 알아보시려면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시면 상세히 안내되어 있습니다.

 

2024년 청년도약계좌 지원강화 주요내용

2024년 청년도약계좌 지원강화 내용 사진

1. 가입대상 요건 완화

1) 가구소득 중위 180%에서 250% 이하로 개선

소득 요건 중 가구소득의 기준이 기존 중위 180% 이내에서 250% 이하로 개선되면서 보다 많은 청년들이 가입대상이 되어 혜택을 받을수 있게 되었습니다.

중위소득이란?
전체 가구에서 소득을 기준으로 50%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을 말합니다. 즉, 가구를 소득 기준으로 일렬로 줄을 세웠을때 중간에 위치하는 가구의 소득을 말합니다.
통상적으로 가구에 포함된 가구원수에 따라 중위소득은 다르게 측정되며, 보건복지부에서 2016년부터 시행했으며 2024년 기준 중위소득 250%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가구 6인 가구
중위소득 100% 5,571,112원 9,206,522원 11,786,642원 14,324,782원 16,739,337원 19,045,922

2) 군 장병급여만 있는 경우에도 가입 가능

의무 복무 군 장병의 급여는 비과세로 소득을 증빙할 방법이 없어서 가입이 불가하였지만, 24년 3월 25일부터 소득기준연도에 “군복무” 이력이 있으면 가입신청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2. 특별중도해지 사유 추가

청년도약계좌 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혼인”과 “출산”이 추가되어, 이 사유에 해당하여 특별 중도해지를 하는 경우 비과세 적용 및 정부기여금을 모두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3. 중도해지시 지원강화

청년도약계좌를 3년 이상 유지한 후 중도해지하는 경우 비과세를 적용하고 정부기여금도 매칭비율의 60% 수준으로 지급하도록 추진예정입니다.

비과세 적용과 관련하여서는 조세특례제한법을 24년내 잠정 개정할 예정이며, 정부기여금 지급과 관련하여서도 필요 예산을 확보하는 등 지속적으로 필요조치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이렇게 청년도약계좌의 2024년 지원 강화 주요내용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청년도약계좌를 시행하면서 개선해야 될 사항에 대해서 청년의 의견을 수렴하여 개선한 내용이니 최신 개선된 사항을 참고하여 가입하셔서 혜택을 보시길 바랍니다.

또한 청년도약계좌의 매달 신청일은 서민금융위원회 홈페이지에 공지되오니 매월 일정을 확인하셔서 가입하시길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글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연계 알아보기
청년도약플러스적금 출시 및 신청 알아보기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하셨는지 평가부탁드립니다.

별점은 매겨주세요.

평균 평점 0 / 5. 투표 수 0

가장 먼저 게시물을 평가해주세요.

Leave a Comment

error: 우클릭 할 수 없습니다.